[알고리즘 공부] 2. 큐
큐는 배열이나 다른 것과 달리, 일반적인 입력순서가 출력순서에 영향을 주는 자료구조중에 하나이다. FIFO이라고도하고, 줄서기와 같다고도 하고, 무튼 첫번째로 입력된게 첫번째로 출력이 된다. add or offer로 값을 넣고, poll() 로 해당 리스트의 원소를 출력한다. 추가로, 해당 list를 그냥 출력하게 되면, 리스트의 모든 원소들이 출력이 된다. poll()을 하게 되면,해당 원소의 값을 가질수있게 return 이 되지만 해당 원소를 삭제 하고자 하면(순서는 poll과 동일) 아래와 같이 remove를 사용하면 된다. 이런 queue를 내가 별도로 제네릭 타입을 선언해서, add, poll 기능을 하는 것을 만든다고 해보자 아래와 같이 해당을 구현할수 있다. 자, 이제 그러면 예제를 풀어보자
5. 알고리즘 정리 [그리디]
그리디 알고리즘, 흔히 말해 탐욕기법이다. 우선 해당 알고리즘의 동작 형태 및 구현 방법에 대해서 익혀보자 그리디 탐욕기법은, 경우의 수가 존재할 경우, 매순간 최선의 경우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현재 상황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 나가는 것이기 떄문에, 항상 가장 좋은 결과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그럼, 그냥 문제를 바로 풀어보자 * 동전 0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7 11047번: 동전 0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1 ≤ N ≤ 10, 1 ≤ K ≤ 100,0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동전의 가치 Ai가 오름차순으로 주어진다. (1 ≤ Ai ≤ 1,000,000, A1 = 1, i ≥ 2인 경우에 Ai는 Ai-1의 배수)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