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gorithm/[Etc]

(38)
[프로그래머스] 위장 문제 풀이 위장 문제 문제의 키포인트는 각각의 옷에 대한 카테고리는 같지만 이름은 다 다르다는것이다. key 로만 구분해서, 해당 값들을 카운트한 값들을 넣어주고, 각각 경우의수를 곱해준다. 상의3개 하의2개인 경우 3 * 2 6가지의 옷을 입을수 있고, 해당 케이스처럼 * 해준뒤에 다 벗을수있는경우가 포함되어있는 경우 1은 빼준다. 그리고 상의가 2개여도, 안입을수도있기 떄문에 (하의 1개만 입을수 있음) 해당 경우를 생각해서 가지수 +1 해서 곱해준다.
[프로그래머스]그리드 - 체육복 그리드 함수를 쓰는 체육복 문제이다. 난이도는 1이며, 푸는건 10분 정도 걸렸다. 우선 전체 탐색은 기본이고, 한번빌려줬으면, 해당 사람은 못빌려주니까, 다음 검색 조건에서 -음수대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본인이 잊어버리고 여분이 있을수있으니, 우선 이 케이스는 먼저 음수처리를 하고, 전체 탐색을 진행 한다 일케하면, 빌려줌을 못받는 애들만 lost에서양수인채로 남아져있고, 나머지는 -99가 된다. 혹시 0의 인덱스에 걸려있을수도있으니 -1은 위험하다고 생각해서 -99로했다. 무튼 이렇게 되면 통과
[프로그래머스]H-Index 문제 간단하다. int 배열 들어오면, 정렬해서 단순 조건으로, 득정 인덱스의 값을 return 해주면 된다. 단 , 문제의 index를 한번 sort한거니까, 길이에서 -i를 한값을 answer에 넣어야한다 ㅋ 걍 간단하게 잔머리 쓴듯한 문제?ㅋ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수 난이도 2의 가장큰수, 쉽게 봤다가. 큰코 다칠뻔 ㅋ int 형 배열을, String 형 배열로 바꿔서 비교 및 출력.... 우선, int 형 배열을 바꿔야한다. for(int i =0;i
[프로그래머스] K번째 수, 정렬 관련 풀이 문제는 해당 과 같다. 정렬을 단순히 사용하는 것이고, 단순히 반복문만 돌리면된다. 이걸 처음에 List으로 담아서 Collections.sort했다가 성능 실패가 되었다. 조금 고민하기는 개뿔 바로, 형변환 ㅈㅅ 하면서 배열로 하고, Arrays.sort로 개발했다. 그리고 여러번의 시행착오 때문에, 시간이 자꾸 늦어졌다;;;;ㄷㄷㄷㄷ나레기;;; 단순 실수 너무많아 무튼, 더 좋은 방법도있고, 최소한의 크기만 선언해서 메모리 관리해야 좋지만 그냥 졸리기도하고 귀찮아서 이렇게 구현했다.
[자료구조] 선택정렬/삽입정렬/퀵정렬 개념 및 예제 코딩 1. 선택정렬 전체 탐색으로 해서, 조건에 맞는 값을 찾으면, temp라는 변수를 사용해서, 2개를 swap 해가면서 탐색 및 정렬해가는 것이다. 쉽게, 간단한 배열을 선택 정렬로 구현한 예제이다. 2. 삽입 정렬 배열이나, 리스트의 끝원소부터, 차례로 작거나 큰값을 비교해 가면서 swap하는 방식 선택 정렬과 비슷하나, 점차 레인지를 줄여나가면서 하나씩 차례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3.퀵 정렬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기준보다 큰 데이터, 작은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것 가장 기본적인 퀵정렬은 첫번째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로 설정한다. (Pivot) * pivot 값을 기준으로,-> 방향으로 탐색 해서, 큰값 와 탐색은 4,
Stream 객체 api 관련 데이터 처리 공부 얼마전에 Stream 객체를 다룰일이 있었다. 조금 낯설었다. Stream 객체? 이걸굳이 왜쓰지? 라고 예전에 보고 어설프게 공부해서, 약간 당황쓰 그래서 조금 제대로 공부해보려고한다. 1. Stream 객체, api라고도 하는데 우선 사용하면 좋은점 우선 장점은, 한가지의 방식으로 함수형으로 몰아서 코딩을 작성할수있다. 이게 무슨 소리냐 다른건 예를 들어서, 배열에서 List로 변경하려면 원본의 데이터를 편집하고 붙여서 변형을 해야한다. 즉, 자체적으로 변형해주는, 데이터를 직접 건들여서 손봐야한다. 하지만, Stream 객체를 사용하게되면 간단하게 함수하나로, 바로사용해서변형할수있다. String 배열 이다. 이걸 List에 담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런식으로 데이터의 변형을 가해, add를 해줘..
DFS 관련 개념 정리 BFS, DFS 는 알고리즘 유형에서 많이 나오는 유형이다. 우선 탐색 관련 된 내용이다. 스택 = pop,push로 선입 후추이다. 박스쌓기 처럼, 최상단 출력, peek() 큐 = 선입선출 , 줄서기, 대기열 같이, offer, poll 사용해서 사용 DFS : 깊이 우선 탐색, 스택 OR 재귀함수를 탐색 시작 노드 스택에 삽입, 인접 노드 스택에 넣고 개념을 익히기에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선, 해당 부분을 이해 및 풀을려면 어떤식으로 돌아가야하는지 알아야한다. 1은 false , 0은 true로 이해하면 된다. 자, 그러면 코딩을 해보자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elloCodiva { public static int n, m; public static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