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선택정렬/삽입정렬/퀵정렬 개념 및 예제 코딩
1. 선택정렬 전체 탐색으로 해서, 조건에 맞는 값을 찾으면, temp라는 변수를 사용해서, 2개를 swap 해가면서 탐색 및 정렬해가는 것이다. 쉽게, 간단한 배열을 선택 정렬로 구현한 예제이다. 2. 삽입 정렬 배열이나, 리스트의 끝원소부터, 차례로 작거나 큰값을 비교해 가면서 swap하는 방식 선택 정렬과 비슷하나, 점차 레인지를 줄여나가면서 하나씩 차례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3.퀵 정렬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기준보다 큰 데이터, 작은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것 가장 기본적인 퀵정렬은 첫번째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로 설정한다. (Pivot) * pivot 값을 기준으로,-> 방향으로 탐색 해서, 큰값 와 탐색은 4,
[Spring boot] Spring - mysql - JPA 연동
노트북이 느려터져서, 화병으로 죽기전에, 한번 드라이브를 밀고 다시 세팅했다. 세팅은 언제나 할때마다 버벅인다 ㅋ; 담엔 좋은 노트북해서, 한 3년 주기로해야겠다... 무튼, 연동의 첫 부분을 위해, 프로젝트 새로띄움 우선은 Restcontroller랑 controller 랑 생성해서, view매핑까지 해놓고, mysql을 또 깔까.... 했지만, 그냥 aws 에서 설치하고 띄우려고한다. (로컬 설치 그만 ~ ^^) 그래서, aws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건 참고자료도 많지만, 그냥 aws 가입하고 rds 생성할때, 퍼블릭 엑세스가능 (가능으로 바꿔야 boot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Spring boot] Spring - mysql - JPA 연동
노트북이 느려터져서, 화병으로 죽기전에, 한번 드라이브를 밀고 다시 세팅했다. 세팅은 언제나 할때마다 버벅인다 ㅋ; 담엔 좋은 노트북해서, 한 3년 주기로해야겠다... 무튼, 연동의 첫 부분을 위해, 프로젝트 새로띄움 우선은 Restcontroller랑 controller 랑 생성해서, view매핑까지 해놓고, mysql을 또 깔까.... 했지만, 그냥 aws 에서 설치하고 띄우려고한다. (로컬 설치 그만 ~ ^^) 그래서, aws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건 참고자료도 많지만, 그냥 aws 가입하고 rds 생성할때, 퍼블릭 엑세스가능 (가능으로 바꿔야 boot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DFS 관련 개념 정리
BFS, DFS 는 알고리즘 유형에서 많이 나오는 유형이다. 우선 탐색 관련 된 내용이다. 스택 = pop,push로 선입 후추이다. 박스쌓기 처럼, 최상단 출력, peek() 큐 = 선입선출 , 줄서기, 대기열 같이, offer, poll 사용해서 사용 DFS : 깊이 우선 탐색, 스택 OR 재귀함수를 탐색 시작 노드 스택에 삽입, 인접 노드 스택에 넣고 개념을 익히기에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선, 해당 부분을 이해 및 풀을려면 어떤식으로 돌아가야하는지 알아야한다. 1은 false , 0은 true로 이해하면 된다. 자, 그러면 코딩을 해보자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elloCodiva { public static int n, m; public static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