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30)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에 대한 기초 지식, 개념 정리 Go 언어 작성된 리눅스 컨테이너 기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쉽게 말하면 서버 가상화를 위한, 도구이다. 서버 가상화는 왜할까? 컴퓨터 성능이 날로 좋아지면서, 서버의 리소스가 많이 남아돈다... 한서버에 여러개의 서버를 올리면 안정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상화로 host os 위에 여러개의 서버를 올린다. 그러면 VM과 docker의 차이는? 무엇일까 VM은 Host os위에 Guest OS , 즉 OS끼리 탑을 쌓기 때문에 느리다. 하지만. Docker 는 Host os 위에 os 가 아닌 커널만 만들고, 자원을 공유하는 여러개의 서버용 app을 만든다. 속도와 IO의 측면에서 커널을 공유하여 빠르지만, 멀티os를 할수없는점, 그리고 보안에 있어서 취약하다. 다음에는 Docker로 서비스 배포.. [Spring boot] mysql Spring 연결 및 application.yml 설정 일단 저번에, mysql 설치 및 환경 설정을 완료 하였고, 이제 application.yml에서, 해당 database의 설정을 추가해준다. 우선 기존의 application.properties와 다르게 yml 파일의 형식은 보기도 편하고, json tree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찾기도 훨씬 편하다. 기존에 설정했던 jsp 경로를 yml형식으로 바꾼뒤에, datasource의 내용을 적어준다. mysql관련 class name 과 url , root가 아닌 user name과 password를 입력한뒤에, 서버를 구동하면 정상적으로 뜬다. 참고) user name설정 방법 저번에 설치했던 mysql workbench 기준으로, 해당 내용을 작성 및 저장 해주면,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Spring boot] Mysql 설치 및 workbench 연동 , Spring 연동 전 설정 mysql 설치 : https://dev.mysql.com/downloads/mysql/ MySQL :: Download MySQL Community Server Select Operating System: Select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Ubuntu Linux Debian Linux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Red Hat Enterprise Linux / Oracle Linux Fedora Linux - Generic Oracle Solaris macOS FreeBSD Source Code Select OS Version: All Wind dev.mysql.com 해당 진입하게 되면, mysql 운영 체제에 맞게 설치할수 있다. d.. @RequestBody,ResponseBody,Requestparam 등등 제일 많이 쓰는 어노테이션중 하나인 View에서 컨트롤러 전달 방법에 대한 어노테이션에 대한 기초 지식 공부의 필요성이 생겼다. 완전히 이해하지 않고, 사용하다 보니까, 헷갈려서 삽질을 할때가 발생한다... (이럴 때 매운 화남) 무튼, View Controller 간의 데이터 전달을 돠주는 어노테이션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위해 포스팅한다. @ResponseBody @Controller에서는, String 으로 return 을 시키면, view로 Return을 하게 된다. @RestController의 경우, data에 대한 response를 주는 Rest-api 에 대한 사용이 목적이므로 @ResponseBody 가 자동으로 붙는다. 그러나, Controller에서는 그렇지않다. 데이터를 넘겨주는 경우.. @RequstMapping 기본구조 및 사용 방법 예제 흔히 Controller 에서 볼수있는... 가장 흔한 메소드와 , url 연결 매핑 메소드! @RequestMapping, @GetMapping , @PostMapping 차이가 뭐지....? 사실 차이는 없다. /test 나 /test2 나, 방식은 같다. 결국 @GetMapping 은 RequestMapping에 대해서 길게 쓰기 귀찮을때 바로가기 처럼 연결해주는 방법이다. @RequestMapping 에 대해서 조금 더 공부해보자!! 우선 기본 구조 이렇게 value 와 method를 통해 방식을 결정 받는 방법이다. 단, value 에서는 단순 url에 대한 고정도 가능하지만, URL 패턴에 대한 정의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런식으로 value 를 두게 되면, test2하위에 아무거나 해도 다 .. [Spring boot] jsp 및 view 경로 설정 (템플릿 엔진 아닐때) 우선 스프링 부트에서 쓰지말라고 했지만, 익숙하고 대중화된? jsp를 쓸때는 경로를 자동으로 잡아주지않아서 별도로 지정을 해주어야 한다. 우선 application.yml 에서 jsp 에 대한 prefix 와 surfix를 잡아준다. spring.mvc.view.prefix=/WEB-INF/jsp/ spring.mvc.view.suffix=.jsp 그리고 프로젝트 view 경로를 요로코롬 생성 해준다. 아마 기본으로 src/main 까지는 있지만, webapp부터는 폴더 생성을 해주어야 한다. 어제는 RestController로 api에서 주로 쓰이는 방식으로 메소드를 구현했지만. jsp는 view를 보여줘야 하기때문에 ~ 요로케 MV를 return 하게끔 소스를 짜면, 그냥 test.jsp가 나오게 된.. [Spring boot] 3. Project Run & 스프링 구동 방법 우선, MVC 패턴을 만들기 위해, 컨트롤러 생성 해준다. date.blog 에는 @SpringApplication 이 있다.(프로젝트 생성시 기본으로 설치되는 class) 여기 이 친구 하위에 controller를 만들어준다. 이유는 간단하다. @SpringBootApplication 상세 선언 화면이다. 좀 상세히 보면, 해당 경로 하위의 것들을 ComponentScan 후에, 메모리에 올려놓는다. 즉 초기에 구동할때, 어떤 것들을 new하고, 어떤것들을 heap에 두어서 관리를 할지 결정한다. 이는 IOC에 해당하는 중요한 스프링 핵심 개념이다. 즉 Class를 사용자 별도로 new하지말고, Spring 이 관리 해주어, 쉽게 메모리 관리를 하게 도와준다고 보면 된다. 간단하게, 테스트 용 Rest.. [Spring boot] 2. 의존성 설정 new > starter project 를 하게 되면 > sts에서 바로 의존성 설정하는 창이 나온다. 간단하게 JPA와 로그인 관련 security 설정만 추가해준다. 그러면, Get 방식으로 의존성 관련 쿼리스트링을 날려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자동 다운 + pom.xml 에 추가해준다 dependency 추가 목록들을 살펴보자 1. devtools 공식문서(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1.5.16.RELEASE/reference/html/using-boot-devtools.html) 뭐 대략적으로, classpath 내에서 변화가 일어날때, 자동 재시작을 해준다는 내용, maven,gradle일 경우,어떤식으로 pom.xml 로 들어가는지 안다. 2. L.. 이전 1 ··· 87 88 89 90 91 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