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지식] 쿠키와 세션 비교
많이들 사용하는 쿠키와, 세션 주로 로그인 및 회원 처리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해당 두가지 개념에 대해서 명확하게 익히고 가자. 우선 쿠키와 세션 사용이유 HTTP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 환경에서는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확인해야한다. 그이유는, Http 서버는 connectionless, sateless하기 때문이다. 이게무슨 말이냐면,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해서 서버가 response를 하게 되면, 바로 끊어진다. 헤더에 keep-alive라는 값을 줘서, 커넥션을 재활용한다. stateless는 뭘까, 통신이 끝나면,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특성, 연결을 끊는 순간, 상태정보는 유지하지 않는다 -> 그러면 회원이 계속 접속중..
[Spring boot] JPA 연동 및 테스트
JPA 설정이 기초적인 부분이 완료되었다. 이제 Entity를 생성하고, 재 부팅 해보자. JPA는 객체 지향적 ORM 방식으로 개발할수있도록 도와주는 api중하나이다. 개발자가 쿼리보다는 객체에 신경을 쓸수있도록 도와주고, 충분한 학습이 뒷받침 되면, 아주 좋은 성능을 낸다고한다. 이런식으로 id를 pk로 주고, 재부팅한다, 이렇게 자동적으로 sql에서 생성을 하게된다. ddl-auto 가 update이기때문에, 해당 컬럼을 추가하게 되면 이렇게 반영이된다. @Table , Entity 가 기본적으로 이름이 동일한 테이블을 생성 및 찾지만, 특정 테이블 이름과 매핑할수도있다. @Column(name ="???") 동일한 이름이 아닌, 특정 컬럼이름으로 할수있다. 예) 아 우선 그전에, 자동 재기동을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