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tream _ 심화
Java Stream 심화 공부를 해보자, 1.list.parallelStream 의 사용 List에 초기값이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Stream에 List를 저렇게 병렬로, 즉 각각의 쓰레드 별로, 생성할수 있다.(Stream 객체를) 저렇게 보면, 무슨 차이지? 싶은데, 여러개 혹은 많은 량의 데이터를 생성할떄 해당 쓰레드 별로의 생성은 아주 효과적이다. 2. Unboxing, boxing의 간편을 위해서, Long,double,int에 대한 기본 Stream을 제공한다. 박싱, 언박싱이란 무엇인가? 자바의 자료형은 기본형과 참조형이 있다. Integer과 같은건 기본형이고, int와 같은건 참조형이다. 참조형은 레퍼런스타입이고, 인터페이스와 같은 타입으로, 다양하고 활용가능하게끔 하기위해 사용되는 ..
DTO, DAO, VO 예제 및 예시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 DTO, DAO,VO의 예시를 공부해보자 1. DTO 란? DTO,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는 DTO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얻어, service, controller 단으로 데이터를 넘길때 필요한 값이다. 로직을 가지고 있지않고, 순수 getter,setter를 가지고 있다. 2. DAO 란? Service에서, Database를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객체이다. JPA에서 사용은 repository이고, 실제 DB와 접근 하는 객체의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서 DB에 접속해서, 데이터의 CRUD작업을 시행하는 클래스이다. 3. VO - DTO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VO는 값이 변경되지 않는 불변의상태를 의미한다. - readOnly이다. ValueObject
트리, 이진 트리 Binary Search tree
트리와 이진 트리 , Binary Search Tree 구조와, 방식에 대해서 이해해보자 - 트리 일반적으로 계층 구조의 자료구조를 표현할때 사용하는 구조이다. 자식-부모 간의 관계로 되어있고, 싸이클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되게 간단하다. 단순 트리 구조는, 동료 노드와, 부모 자식 노드 그리고 최상단의 루트 노드가 존재한다는 것이 전부이다. 이진트리 - 자신의 하위 노드의 차수가 최대 2인, 트리 구조를 의미한다. 부모-자식간의 노드 구조는 동일하고, 자식을 최대 2개가진다고 이해하면 된다. 이진트리는 종류가 조금 씩 있는데, 1. 완전 이진 트리 2. 전 이진 트리 3. 포화 이진 트리 이렇게 3가지의 트리가 존재한다. 1. 완전 이진 트리 완전 이진 트리는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데이터가 채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