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bile]

(86)
[Flutter] imagePicker 관련 설정 Android //android/app/src/debug //android/app/src/profile //android/gradle.properties android.useAndroidX=true android.enableJetifier=true IOS Runner/info.plist NSCameraUsageDescription $(PRODUCT_NAME) camera description. NSPhotoLibraryUsageDescription $(PRODUCT_NAME) photos description. NSBonjourServices _dartobservatory._tcp 위 두가지 플랫폼에 해당 사항을 추가해줘야 관련 카메라와 갤러리 접근이 가능하다.
[Flutter] Naver 로그인 1. naver developer 사이트 설정 2. ios. info.plist naverConsumerKey ??? naverConsumerSecret ????? naverServiceAppName ???? 3. aos manifest.xml 4. 디펜던시 추가 (Pubspec.yaml) flutter_naver_login: ^1.6.0 5. 네이버 로그인 관련 소스 import 'package:flutter_naver_login/flutter_naver_login.dart'; import 'package:google_sign_in/google_sign_in.dart'; import 'package:myvalue/util/chat/widget/message.dart'; import 'package:my..
[Flutter] PortOne 결제 모듈 연동 1. pubspec.yaml 에 의존성 추가 iamport_flutter: ^0.10.0 2.IOS 설정 info.plist에 아래 3가지를 등록 해야한다. 2-1. 앱 스킴 등록 외부 결제 앱이 호출되고 다시 돌아오기위해 필요한 앱스킴을 등록한다. URL types > item0 > URL Schemes > item 0에 해당하는 Scheme을 작성한다. 2-2. 외부 앱 리스트 등록 아래의 리스트들을 등록해준다. LSApplicationQueriesSchemes kftc-bankpay ispmobile itms-apps hdcardappcardansimclick smhyundaiansimclick shinhan-sr-ansimclick smshinhanansimclick kb-acp mpocket.o..
[AOS] ADB memory 부족으로 인해 오류 시 대처 android.os.ParcelableException: java.io.IOException: Requested internal only, but not enough space 위와 같은 오류로 애뮬레이터에 대한 실행이 안될때가 있다. 디바이스 매니저를 클릭해주고 해당 애뮬레이터를 swipe data를 해준다. 위와 같이 진행해주면 메모리가 넉넉해져서 다시 실행이 가능해진다. (단 애뮬레이터는 꺼야함)
[Flutter] Firebase auth + Google login 구현 Google 로그인 관련 정리 기존 파이어베이스 관련 프로젝트 설정을 완료했다고 가정한다. 1. Firebase auth 세팅 프로젝트 설정에서 google signup 설정을 해준다. 2. 구글 로그인 의존성을 추가해준다. flutter pub add google_sign_in 3. 뷰모델과 로그인 구현체 import 'package:kakao_flutter_sdk_user/kakao_flutter_sdk_user.dart'; import 'package:myvalue/util/login/http/login-httpapi.dart'; import 'package:myvalue/util/login/widget/social/kakao/kakao_login.dart'; import 'package:myval..
[Flutter] Auto Serializable 플러터 사용중 자동으로 역직렬화와 직렬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손수 직접 매핑을 해줬는데 이 작업이 상당히 귀찮아 졌다. dart pub add dev:json_serializable dev_dependencies: flutter_test: sdk: flutter build_runner: ^2.0.0 json_serializable: ^6.7.1 import 'package:json_serializable/json_serializable.dart'; 위 작업으로 관련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있다. 자동 Factory 메소드를 생성을 해주는데, 직접 매핑을 관여한다. 관련되서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아래와 같이 명시만 해놓은 파일이 있다고 가정한다. import 'packag..
[Flutter] Firebase Storage, Database 요새 앱개발로 정신이 없다. 그래서 정리할 시간도 포스팅도 없다. 하지만, 최근 요청건으로 개발한 부분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한다. 대부분 앱은 backend server로 보내고 3rd db를 쓰지만, 간단하거나 백엔드 구현이 어려운 경우 파이어베이스를 많이 쓴다. 1) Firebase storage 이미지를 핸드폰에서 집어와서 파이어베이스 storage에 올리는 방법이다. 별건 없다. import 'dart:io'; import 'package:cloud_firestore/cloud_firestore.dart';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import 'package:image_picker/image_picker.dart'; import 'package..
[Flutter] ios 빌드 구성 차이 Flutter 로 ios를 개발하다보면 두가지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ios하위에 xcodeproj와 xcodeworkspace 이다. 어떤걸 사용해서 배포를 해야할까? 둘다 배포는 된다. -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면 xcodeworkspace로 빌드를 해야하고 - 외부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xocdeprodj를 사용해서 빌드를 해야한다. 대부분 앱은 모두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게 거의 불가피하다. 그래서 그냥 xcodeworkspace로 빌드를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podfile이 있는) 그러면 xocdeproj는 어디에 쓸까? 해당 파일은 앱의 설명 프로젝트 소개 등에 쓰이는 네이티브한 메타데이터를 다룰때 사용하는 파일이다.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