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fier (1)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Autowired 어노테이션의 장점 이전의 xml에서 설정을 해서 빈을 바꿔주었다. 그런데 이건 예전 방식이고, 어노테이션으로 DI로 많이 사용한다. 우선 property 를 사용해서, 특정 빈에서 다른 빈으로 DI를 하는 방식을 어노테이션으로 바꿔보자 저번의 set함수에서 오토와이얼드를 사용해서 주입을 하고, xml의 프로퍼티를 삭제 하였다. 추가로, xml에 context를 추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는 @autowired어노테이션을 찾아줘라는 설정을 이렇게 한다. 근데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빈의 기준은 뭘까?? 왜냐면, 별도로 빈 id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빈이 여러개라면 어떤 빈으로 주입이 될까? 우선 bean의 아디기준으로 바인딩 되는게 아니라, class 타입 기준으로 바인딩이 된다. 그러면 만약에 동일 빈이 아래와 같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