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개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JPA] 기본적인 구조 일단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이외 해당 API에 대한 설명은 스웨거로 작성을 하였고 게시물, 회원에 대한 간단한 Controller,Service, Repository는 아래와 같다. 소스 코딩은 별로 하지 않았고, 시간도 적었다. 러닝 커브는 심하지만, 이러한 JPA의 장점과 좋은 점들을 최대한 활용해보고자 하였고 추후에 QueryDsl 까지 섞어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트랜잭션 관련 개발 내용도 구조와 개념을 상세히 스터디해서 포스팅 할 예정이다. 공부의 의미가 적은 비즈니스로직은 사실 일일히 포스팅 할 필요가없어서 구조에 대한 개념을 잡기위해 아래와 같이 대충 포스팅 ㅋ [JPA] JPA 관련 기초 개념 정리 1.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 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기술이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패러다임의 불일치가 존재할수 밖에없고, 해당 패러다임을 맞추려, 객체지향적 설계를 할수 없다. OR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2. JPA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이다. 즉, 인터페이스 모음이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프레임워크가 하이버네이트이다. 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 사이에서 동작하며, JPA를 개발자가 사용하면, JPA 내부에서 JDBC API를 사용하여, SQL을 호출하여 DB와 통신한다. 3. 하이버네이트 JPA를 구현한 프레임워크 중 사실상 표준에 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