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lutter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공부
- 스프링부트
- JPA예제
- JPA공부
- nestjs스터디
- JPA스터디
- 스프링공부
- querydsl
- DDD
- 스프링
- 플러터 공부
- nestjs
- JPA 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JPA
- 스프링 공부
- 기술면접공부
- 자바공부
- K8S
- Axon framework
- 카프카
- 플러터 개발
- 코테준비
- 기술공부
- nestjs공부
- 코테공부
- 자료구조공부
- Kafka
- Today
- Total
목록JPA 개념 (2)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Vgqr/btrS5zuVlIq/qwUPpsPDrRnJT0Kj3H0Iu0/img.png)
일단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이외 해당 API에 대한 설명은 스웨거로 작성을 하였고 게시물, 회원에 대한 간단한 Controller,Service, Repository는 아래와 같다. 소스 코딩은 별로 하지 않았고, 시간도 적었다. 러닝 커브는 심하지만, 이러한 JPA의 장점과 좋은 점들을 최대한 활용해보고자 하였고 추후에 QueryDsl 까지 섞어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트랜잭션 관련 개발 내용도 구조와 개념을 상세히 스터디해서 포스팅 할 예정이다. 공부의 의미가 적은 비즈니스로직은 사실 일일히 포스팅 할 필요가없어서 구조에 대한 개념을 잡기위해 아래와 같이 대충 포스팅 ㅋ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SZvH/btrwbgSQPU1/ONEXcyf5kFS17bRFGm9lD1/img.png)
1.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 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기술이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패러다임의 불일치가 존재할수 밖에없고, 해당 패러다임을 맞추려, 객체지향적 설계를 할수 없다. OR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2. JPA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이다. 즉, 인터페이스 모음이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프레임워크가 하이버네이트이다. 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 사이에서 동작하며, JPA를 개발자가 사용하면, JPA 내부에서 JDBC API를 사용하여, SQL을 호출하여 DB와 통신한다. 3. 하이버네이트 JPA를 구현한 프레임워크 중 사실상 표준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