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S 로컬 세팅 (1)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EKS 세팅 방법 오늘은 AWS의 k8s 서비스인 EKS를 로컬에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일단 나의 환경은 윈도우 + WSL + AWS이다. 물론, 인스턴스와 EKS세팅은 별도 포스팅에서 다루고 오늘은 회사에 입사해서 EKS를 쓰고있는데, 내 로컬에서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AWS에 직접 접속을 해서 커맨드를 날렸지만 EKS는 로컬에서 kubectl을 해도, 해당 aws의 k8s가 응답을 준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지는 아래 방법을 따라해보자 총 3가지가 필요하다 aws cli aws confiure kubectl 설치 1. aws cli 설치 aws는 실시간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우선 아래 공식문서를 확인한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v1/userg..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