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stjs
- JPA공부
- 플러터 개발
- 스프링공부
- 기술면접공부
- Flutter
- 자바공부
- nestjs공부
- 스프링
- 코테준비
- 스프링 공부
- 자료구조공부
- 기술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JPA스터디
- K8S
- JPA예제
- querydsl
- 알고리즘공부
- DDD
- nestjs스터디
- JPA
- Kafka
- 프로그래머스
- 카프카
- 코테공부
- JPA 공부
- 스프링부트
- 플러터 공부
- Axon framework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15)
DevBoi
axon framework는 axon server와 axon framework가 있다. axon framework 에서 이벤트 소싱이 발생될 때, axon-server가 아닌, 카프카나 외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우선은 해당 axon-framework와, axon-sever를 통해서 진행해보자 axon framework의 아키텍처는 아래와 같다. 대게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Command Event와, 조회용 Query에 대한 저장소가 분리 되어있다. 커맨드를 날리게 되면, 해당 Command Handling Component가 받아서, 처리를 한다. 처리 중에 외부 저장소에 영속이 필요한 경우 persist 작업을 거치고,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이벤트를 이벤트 핸들링 Component가 받아 처리하는 ..
우선 게시물에 대한 Entity를 아래와 같이 바꿨다. import { BaseEntity, Column, Entity, OneToMany,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import { Record } from './record.entity'; @Entity() export class Board extends Base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 uid: number; @Column() title: string; @Column({ unique: true }) userId: string; @Column() nickname: string; @Column() password: string; } board.repository.ts i..
일단 가볍게 이미지를 받아준다. docker pull mariadb 그리고, 포트랑 이름, 볼륨 마운트 정보를 넘겨서 커맨드를 입력한다. 사용자,포트,데이터베이스를 한번에 생성한다. docker run -d --name mydb -p 3306:3306 --env=MYSQL_ROOT_PASSWORD=1234 --env=MYSQL_USER=admin --env=MYSQL_PASSWORD=admin --env=MYSQL_DATABASE=test mariadb 도커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끝 이제 NestJS쪽에서 디비 연동 및 세팅을 진행해보자. 일단. TypeOrm을 사용하기 위해서, 관련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줘야 한다. npm install --save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
저번에 docker buildx로 멀티플랫폼 이미지를 빌드했었다. 근데, 그거를 오늘 했는데 너무 오래걸렸다. 그래서 조금 방법을 바꿨다. 우선, 리눅스의 플랫폼을 보려면, docker version으로 확인해보면된다 아래와 같이 나오는 곳에서 확인해보면 된다. server: Engine: Version: 20.10.21 API version: 1.41 (minimum version 1.12) Go version: go1.18.1 Git commit: 20.10.21-0ubuntu1~22.04.3 Built: Thu Apr 27 05:37:25 2023 OS/Arch: linux/amd64 Experimental: false 멀티 플랫폼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platform linux/..
Jdk 버전에 대한 팔로우업에 잊고 행복한 삶을 살다가 Jdk 14부터 정식 릴리즈한 Record class라는 애가 나왔고. DTO로써 사용하기 최고라고 추천을 받아 공부겸 포스팅을 진행하려고한다. 1) Record 클래스가 뭔데? 레코드란 데이터클래스 이며, 순수하게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특수한 종류의 클래스이다. 코틀린의 데이터 클래스와 비슷한 느낌이다. 데이터의 유형만 딱 나타내는 느낌으로, DTO클래스를 생성할때 굉장히 간결해지는 장점이 있다. 2) 샘플 소스 및 대략적인 사용 예제 한 30%의 사람들 혹은 옛날 코드들은 이렇게 DTO가 짜여있다. package com.inna.innabackend.dto; public class SampleRecordDto { private String na..
자바랑 살짝 비슷하게 생겼는데 커스텀 파이프는 PipeTranform을 구현해야 하고, 하위 transform()메소드를 구현해야한다 import { ArgumentMetadata, PipeTransform } from "@nestjs/common"; export class BoardStatusValidationPipe implements PipeTransform { transform(value: any, metadata: ArgumentMetadata) { console.log(value) console.log(metadata) return value; } } @Patch('/:id/status') updateBoardStatus( @Body('status',BoardStatusValidationPip..
그냥 뭐.. 정의 된 예외를 던져주면된다. 스프링이랑 이건 뭐 거의 동일하다. getBoardById(id: string) : Board{ const board = this.boards.find((board) => board.id == id); if(!board) throw new NotFoundException(); return board } throw new NotFoundException("Not Found Exception"); 이렇게 하면 Exception message까지 가능하다. 이렇게 확인까지 가능하다. 생각보다 간편하다. ExceptionHandler 기능을 하는것도 있을것같은데...무튼 그렇다. ExceptionHandler라기 보다는, 글로벌하기 파이프를 연결 하면.. 가능할 것같다..
드디어 NestJS의 개념에 대한 공부이다. NestJs에서 Injectable() 데코레이터로 달린 클래스를 의미한다. 파이프는 data transformation과 data validation을 위해서 사용된다. 파이프는 컨트롤러 경로처리기에 의해 처리되는 인수에 대해 작동된다. 파이프가 없으면 바로 핸들러로 가게된다. 근데, 만약에 파이프가 있다면? 데이터에 대한 체크와 유효성 체크를 하고 나서 핸들러로 보내게된다. 스프링으로 치면... AOP나 필터라고 생각하면된다. (백엔드는 다 비슷하구나..) 자, 그러면 어떻게 구현을 하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한번 해보자 특정 메소드 별로 데코레이터를 선언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단위로 데코레이터를 선언해서 사용할 수도있다. 글로벌 레벨의 파이프도 있다...
Id기준으로, 해당 게시물의 정보를 return 해주는것을 만들것이다. 배열에서, 해당 게시물의 id와 받은 id가 같은것을 return 해주는 메소드를 서비스에 넣었다. getBoardById(id: string) : Board{ return this.boards.find((board) => board.id == id); } 컨트롤러도 추가해주자 @Get('/:id') getBoardById(@Param('id') id :string): Board{ return this.boardService.getBoardById(id); } 이렇게 되면, id기준으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테스트를 해보자 정보를 넣고, 전체를 가져오고 그리고 특정 게시물 ID로 해당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까지 완료를 했다., 한가..
DTO는 뭐 알다싶이 데이터 전송객체이다. 클라이언트로의 값을 받거나, DB로 전달할때 주로 사용하는 객체이다. DTO -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효율적이고, 코드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몰랐던 사람은 참고 ㅎ) * DTO를 만들어보자 이전 프로젝트를 보면, 파라미터로 해당 값들을 따로따로 한개씩 받는다. 말도안되는 짓이기 떄문에, DTO를 만들어서 DTO채로 받아보자 export class createBoardDto{ title: string; description: string; } 변경된 controller와 Service를 보자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 BoardStatus } from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