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영속성 전이
영속성 관련되서, Parent와 child를 persist할때 1:N 관계여도, parent와 child를 다 persist해줘야 한다. 예를 들어, 해당 과 같은 소스에서 차일드가 2개이고, 부모가 한개인 경우에는 총 3번의 persist를 해줘야 쿼리가 3개 다 나간다. 한번 persist를 빼보자 add를 해도, parent만 저장이된다. 이런 케이스때는 일일히 결국 persist를 해줘야 할까? 아니다. 영속성 전이를 이용하면 편하다 동일 소스 여도, 영속성 전이가 되어서 insert가 3개 다 나가는 것을 볼수있다. -라이프사이클이 유사할때,(등록,삭제) -소유자가 하나일때, child를 가지는게 parent하나일때, 위 두가지일때 쓰는것이 좋다. 고아 객체 부모엔티티와 연관관계가 끊어진 자식 ..
[Spring] BeforeAdvice 구현 및 예제 공부
before advice는 생각 보다 단순하다. 해당 과 같이 생성하고, xml 파일에서 빈을 불러와서 로드한다. 단순히 클래스에 대한 빈등록을 하고, 해당 인터셉터 리스트에 추가해준다. 참고로 beforeAdvice는, MethodBeforeAdvice를 구현한다. AfterReturningAdvice, returnValue로, 해당 파라미터에 대한 사용도 가능하다 추가로 예외에 대한 핸들러도 등록이 가능하다. 강제로 쓰로우를 시키고 해당 쓰로우때, 빈을 등록하면, 해당 쓰로우 이후에는, 해당 인터셉터가 돈다 advice_throwing이라는 것을 볼수 있다. 여러가지의 advice를 활용하여 인터셉터를 구현해봤다. beforeAdvice,afterReturning,afterThrowing,a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