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30) 썸네일형 리스트형 [k8s] 공부 내용 정리 Resource ex. pod의 버전을 어떻게 알수 있을까? kubectl explain을 쓰게 되면, 해당 리소스의 버전을 알수 있다. 예를 들어 Pod가 v1 인지 apps/v1인지 모른다. kubectl explain pod를 하면, 리소스에 대한 버전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yaml에서 - 를 쓰는건 배열형태의 값을 표현하기위한 문법이다. 이건 몰라서 추가로 적어놓는다. [Spring] httpClient 사용시 설정 HttpClient로 3rd파티로 많이 보낸다. 이때 커넥션 타임아웃이나, 리스폰스 타임아웃에 대한 설정을 추가로 해줘야 시스템이 안정적이다. 설정하는 법은 아래와 같다. 1. RequestConfig를 사용하는 방법 RequestConfig 를 생성하고, custom 하위에 여러개의 설정값들이 있다. connection timeout requestconnection timeout socket timeout 크게 이렇게 3가지를 저장하는데 의미는 이렇다. connection.timeout -> 원격 호스트와 연결을 설정하는 시간 socket timeout-> 원격 호스트한테 데이터를 받는 시간 connection timeout -> 연결 관리자 , 풀에서 대기하는 시간 위에서 두개는 원격호스트에 연결 및.. [금융지식] 연금저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65세 이후, 70살 부터 국민 연금을 받게 되는데 국민 연금 만으로는 살기 어렵다. 따라서 연금 저축이라는 것을 들게 된다. - 개인연금 상품(연금저축,개인형IRP,비과세 개인연금) 이중 연금저축, 개인형 IRP는 세액 공제 혜택이 있다. 소득이 있다면 우선 세액 공제가 되는 두가지를 하는게 좋다. 연금 저축은, 연금저축신탁,연금저축보험,연금저축펀드 + 개인형 IRP가 있다. 퇴직연금 = 개인형 IRP가 있다. (여러개 가입 가능) 1.연금저축 보험(연금저축신탁은 지금 판매하지않는다.) 보편적으로 변동금리이지만, 공시된 이율로적용된다. 적금 처럼 매월 납입하는것이다. 2.연금 저축 펀드 -일정하게 납부 안해도되고 자율적으로 해도된다. -계좌를 개설하고 각종 펀드상품들을 담아서 운영하는 방식이다. 3. .. [Spring] GC log 완전히 분석하고, 튜닝하기! 오늘은 GC log를 보는 법, 그리고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를 해볼까 한다. 기존 구조는 스프링이고, 해당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GC가 어떻게 동작되는지, 로그를 어떻게 남기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을 진행해볼까한다. 1) 스프링 샘플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걍 뭐 간단한, 일을 하는 이런 컨트롤러가 달린 녀석을 샘플 프로젝트로 만들어 보자 @Rest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GetMapping(value = "/test") public String test1() { MyDto d1 = new MyDto(); MyDto d2 = new MyDto(); return "test1"; } } 2) GC log 설정 -vmargs -Dosgi.re.. [Kubernetes] Api-server RestApi 호출 1부 모든 curl 은 jwt나 인증에 대한 과정을 헤더에 포함해야함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는 모든 curl 헤더에 공통 적용 필요, 하위 정리 리스트에서는 해당 내용 생략 Api-server가 32769로 열려있다고 가정, 해당 서버 정보는 전 post에서 확인 가능 Pod 생성, 수정 (파일 단위) : curl -k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H "Content-type: application/yaml" --data-binary @smithprjPods.yaml https://127.0.0.1:32769/api/v1/namespaces/default/pods 정보 조회 : curl -H "Content-type: applicati.. 싱글턴 패턴 사용 및 정리! 싱글턴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사용하는 패턴이다. 주로 특정 객체를 여러곳에서 공유해야 할 떄 사용한다. 싱글턴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하나만 등록해 여러 쓰레드에서 동시에 하나의 객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문제는 동기화 문제인데, 동기화 문ㅁ제만 잘 해결한다면, 리소스의 효율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일단 싱글턴 테스트 코드를 적어보자 package com.practice.demo.config;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private int msg; private SingleTon(int msg) { this.msg = msg; } public static SingleTo.. [k8s] Secret과 ServiceAccount Secret과 ServiceAccount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한다. 이놈은 느낌만 있고, 어떤거지? 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래서 공부를 해봤다. Secret 이란? 시크릿은 비밀번호, Oauth토큰, ssh키 같은 민감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런 정보들은 컨테이너 안에 저장하지 않고, 별도 보관하였다가. 실제 포드가 실행할때 설정을 통해 컨테이너에 제공해준다. 시크릿 종류 - 내장시크릿 내장 시크릿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에서 API에 접근할때 사용한다. 클러스터 내부에서 사용되는 계정인 ServiceAccount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관련 시크릿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크릿을 이용해서, 해당 ServiceAccount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 API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 [k8s] 스프링과 k8s 연동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여러개의 인스턴스, 즉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해야한다. 또한 이 생성된 여러개의 프로젝트 별로 다른 config 를 전달 해야한다. 1. 스프링 콰츠 생성, 정해진 주기마다 k8s api 호출 2. k8s api를 호출받으면 정해진 pod를 생성(전달받은 값을 기준으로 이름이던 뭐던 유니크하게) 3. 각각의 인스턴스에 spring cloud bus를 활용하여 config 값 전달 (게이트웨이라면 라우팅 정보) 4. spring config 서버는 디비의 값을 보고 인스턴스 별로 다르게 전달 5. 각각의 인스턴스 별로 다른 config 값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 이 과정들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단 pod의 를 생성,삭제 하기 위해 api-server와의 통신을 확인해보자 Api ser..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