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30)
[Spring] ObjectProvider + FuntionalInterface Functional Interface와 인터페이스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개의인터페이스가 있고 이를 가지고 Configuration을 만들어보자 ObjectProvider를 활용해서 한개의 인터페이스로 여러개의 빈을 만드는 과정이다. 간단하지만 아래와 같이 설계했다. public interface Food { public String getEat(); interface FoodHandler { public String eat(); } } public interface FoodFunc { Food.FoodHandler supply(); } public class FoodImpl implements Food{ FoodHandler handler; public Food with(FoodFunc h..
[Spring] ObjectProvider에 대해서. 흔히 DL 관련, 사용으로 ObjectProvider를 많이 쓴다. 어떻게 구현되어있고,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한번 알아보자 Spring 4.3에 추가가 되었다고 한다. 대부분 프로토타입빈과, 싱글톤 빈을 둘다 쓰고 싶을때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싱글톤 빈에서,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하고자 한다고 가정해보자 프로토타입 빈은 빈을 요청할때마다 신규로 생성이 되는 타입이다. 싱글톤은 미리 생성해둔, 한개의 빈이 리턴되는 형태이다. 그런데, 싱글톤 내에서 프로토 타입빈을 호출하게 된다면? 프로토 타입빈은 변경되지 않고, 계속 같은 빈을 호출하게 된다. 이는 프로토 타입 빈이 알맞게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ObjectProvider,ObjectFactory를 사용한다. @Configur..
[NestJs] 다대일 매핑 다대일 매핑은 한개의 객체와 여러개의 객체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객체 매핑이다. 쉽게 얘기하면 아래와 같다. 만약에 어떤 업체가 음식들을 등록한다고 가정했을떄, 해당 업체:푸드 는 1:N이다. 엔티티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가 가능하다. @JoinColumn() @ManyToOne(() => Corp, (corp) => corp.foods) corp : Corp; //업체 매핑 업체는 프라이머리키를 표현해서 아래와 같이 또 표현 가능하다. @OneToMany(() => Food, (food) => food.corp) foods: Food[] 그러면 이때 CRUD로직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보자 우선 해당 관련 controller ~ repoistory를 작성할 것이다. 완벽한 설계다 라는 확신은 없는데, 우..
[DDD] EventListener, TransactionalEventListener? 비슷하면서도,,, 느낌이 오면서도.,,,, 무튼 다른,, 그런 두가지 어노테이션을 공부해보려고한다. @TransactionalEventListener는 해당 쓰레드가 언제 트랜잭션을 처리할지, Phase를 통해서 정의할 수 있다. @EventListener는 호출시점에 바로 실행된다. 트랜잭셔널이벤트리스너는, 아래와 같이 4가지 Phase를 나눠서 등록이 가능하다. @Component class MemberEventHandler { @EventListener fun defaultEventListener(event : MemberSave){ logger.info("defaultEventListener ---> {}", event) }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
[DDD] EventListener들은 어디에 저장되고 어떻게 호출될까? EventListener가 어떻게 등록이되고 캐치가 될까? applicationEventPublisher는 Event를 받아, 리스너들에게 Event를 Publish해준다. 도대체 어떻게 무슨 원리로 Publish 되는걸까 ApplicationEventPublisher 인터페이스는 아래 4개의 곳에서 재 정의한다. 그리고, 보통은 AbstarctApplicatonContext에서 정의한 걸 따라간다. AbstractApplicationContext - publishEvent 중요한 부분은 아래이다. Multicaster에게 작업을 위임한다. SimpleApplicationEventMulticaster의 내용이다. 보면 알다싶이, 이벤트 타입을 받아오고, getApplicationListeners를 통해서..
[DDD] Notification and Event 생소한 단어들일 수 있다. DDD를 하지 않으면, 잘 모른다. 우선, 공부를 해보자. Notification은 전파, 전달에 대한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이다. Event가 발생했을때, Notification을 주어서,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키는것이다. Outbox패턴으로 작업한다면, 이벤트를 저장하고, 배치나 스케줄러를 통해서 적정 단위로 처리된다. 이벤트 소싱과 Notification은 다르다. Notification이란, Repository에서 애그리게잇을 가져올때 이벤트를 사용해서 재구성한다. 재구성 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소싱이 가장 중요하다. 특정이벤트를 관심있어 하는 주체에 대해, Notification이 발동된다. Notification은 이벤트 소싱에 저장된 일련의 애그리게잇, 주체에게 이벤트를..
[Java] 제네릭을 조금 잘 써보면 어떨까 제네릭을 좀 잘 써보자. 제네릭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터페이스의 존재이유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타입이나 제약을두지 않고, 해당 상속받은 개체에서 자유롭게 짜는것을 의미한다. 예를 바로 들어보자 package com.smith.PqrsFramework.Interface; public class OrderInterface { T name; R id; public T getName(){ return this.name; } public R getId(){ return this.id; } public void setName(T name){ this.name = name; } public void setId(R id){ this.id = id; } } 간단하게 제네릭 클래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이렇다. 그러..
[CS] 레이어드 아키텍처 간략하게 말하면 레이어드 아키텍처는 이렇다. 특징은 있다, 상위 레이어에서 하위 레이어에 대한 의존은 허용하지만, 하위 레이어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인프라 스트럭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응용 레이어에 대한 의존은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1) 인프라스트럭처 레이어 쉽게 얘기하면, 마리아 디비, 카프카 등 연결이 되어있는 레이어이다. Mybatis로 치면, 다오가 있을거고, JPA로 치면 레파지토리가 있을것이다. 무튼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 2) 도메인 레이어 해당 도메인 레이어는 이렇다. 서비스나 비즈니스 로직이 들어간 레이어를 의미한다. 3) 응용계칭 컨트롤러, 사용자가 요청을 원하는 계층 정리해서 얘기하면, 사용자에게 원하는 요구를 받아서, 수행하는 계층이다. 뻔하고 알고있지만, 헷갈리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