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utoWired란
의존관계 주입을 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며,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 중에 해당 타입에 해당하는 빈의 의존관계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동작 원리>
BeanPostProcessor는 스프링 컨테이너안에서 만든 빈 전/후처리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Autow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 는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이다.
해당 구현체에서, 빈 초기화 라이프 사이클 이전,
즉 빈이 생성되기전에 @Autowired가 붙어있으면 해당 하는 빈을 찾아서 주입해주는 작업을 한다.
반응형
'Develop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Interceptor vs Filter (0) | 2022.03.27 |
---|---|
[Spring]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0) | 2022.03.27 |
[Spring] WebServlet, controller (0) | 2022.03.27 |
[Spring] Servlet이란? (0) | 2022.03.27 |
[Spring] Bean과 Component의 차이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