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Servlet 부분 서블릿만으로 구현한 코드를 짤수있다.
물론 불편하지만, 간단한 기능이나 크기가 작은 프레임워크에서는 Servlet을 직접 작성하는게 더 효율적인다.
Controller는 Dispatcher Sevlet이 url을 분석해서 매핑해주는 기준이다.
즉 스프링이 DispatcherSevlet을 만들어 주고 이 서블릿이 컨트롤러를 찾아서 매핑을 해주는 한단계 작업이 추가된다.
이 작업은 한단계가 추가되지만 직접 request와 response처리 소스를 작성해야하는데
Controller를 사용하여 개발을 하게 되면, 이러한 중복된 소스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보면 스프링이 서블릿 기능을 해주고 있다.
즉 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이 요청을 받고, 요청 받은 내용을 가공하여 해당되는 각 컨트롤러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쉽게 얘기하면,
WebServlet은 Servlet의 경로지정, 즉 해당 url로 들어오면 해당 서블릿에서 받는 것에 대한 정의를 작성 한 것이고
Controller는 FrontController에서 받아서 매핑 할 정보를 작성해 두어서
FrontController(DispatcherServlet) 에서 매핑할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형
'Develop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0) | 2022.03.27 |
---|---|
[Spring] AutoWired동작원리 (0) | 2022.03.27 |
[Spring] Servlet이란? (0) | 2022.03.27 |
[Spring] Bean과 Component의 차이 (0) | 2022.03.27 |
[Spring] Aop란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