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프로그래머스
- 스프링 공부
- 자료구조공부
- DDD
- Flutter
- nestjs공부
- JPA스터디
- 스프링공부
- 기술면접공부
- 플러터 공부
- 스프링
- JPA예제
- K8S
- querydsl
- nestjs스터디
- 자바공부
- 카프카
- JPA
- JPA 공부
- Kafka
- JPA공부
- 스프링부트
- 스프링부트공부
- 코테공부
- 코테준비
- 플러터 개발
- Axon framework
- 기술공부
- 알고리즘공부
- nestj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DD 이벤트리스너 (1)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Asjl/btskBL9D6Z3/ExjWZ3sMYhf6xSXTTOrEbK/img.png)
EventListener가 어떻게 등록이되고 캐치가 될까? applicationEventPublisher는 Event를 받아, 리스너들에게 Event를 Publish해준다. 도대체 어떻게 무슨 원리로 Publish 되는걸까 ApplicationEventPublisher 인터페이스는 아래 4개의 곳에서 재 정의한다. 그리고, 보통은 AbstarctApplicatonContext에서 정의한 걸 따라간다. AbstractApplicationContext - publishEvent 중요한 부분은 아래이다. Multicaster에게 작업을 위임한다. SimpleApplicationEventMulticaster의 내용이다. 보면 알다싶이, 이벤트 타입을 받아오고, getApplicationListeners를 통해서..
Develop/[DDD]
2023. 6. 19.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