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플러터 개발
- Axon framework
- 코테준비
- JPA예제
- 자바공부
- 기술면접공부
- JPA
- nestjs
- 프로그래머스
- K8S
- 카프카
- nestjs공부
- Kafka
- querydsl
- 스프링
- DDD
- JPA스터디
- 스프링부트
- 자료구조공부
- nestjs스터디
- JPA공부
- 알고리즘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Flutter
- 코테공부
- 플러터 공부
- 기술공부
- 스프링공부
- 스프링 공부
- JPA 공부
- Today
- Total
목록퀵정렬 (2)
DevBoi
1. 카운팅 정렬 1. 숫자가 등장한 횟수 를 다른 한가지의 배열에 넣는다 2. 다른 한가지의 배열의 누적합으로 값을 update해준다. 3. 기존 숫자들이 있던 배열 마지막부터, 새로 생성한 배열을 보면서, 정렬 index를 찾는다 ex. 4가 5번 등장하면, arr[5] =4 이런식으로 (만약 중복되는 값이 있어, index에 값이 이미있다면, -1 을 해준다.) 이해가 잘되는 애니메이션 링크 https://www.cs.miami.edu/home/burt/learning/Csc517.091/workbook/countingsort.html Counting Sort This is an animation of the counting sort algorithm found in CLR's Algorithm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WYvd/btq8QyWMPLC/386Frlwsz8diQbLj9RrRc0/img.png)
1. 선택정렬 전체 탐색으로 해서, 조건에 맞는 값을 찾으면, temp라는 변수를 사용해서, 2개를 swap 해가면서 탐색 및 정렬해가는 것이다. 쉽게, 간단한 배열을 선택 정렬로 구현한 예제이다. 2. 삽입 정렬 배열이나, 리스트의 끝원소부터, 차례로 작거나 큰값을 비교해 가면서 swap하는 방식 선택 정렬과 비슷하나, 점차 레인지를 줄여나가면서 하나씩 차례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3.퀵 정렬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기준보다 큰 데이터, 작은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것 가장 기본적인 퀵정렬은 첫번째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로 설정한다. (Pivot) * pivot 값을 기준으로,-> 방향으로 탐색 해서, 큰값 와 탐색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