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기술공부
- 알고리즘공부
- nestjs
- 코테공부
- JPA스터디
- 기술면접공부
- nestjs공부
- 스프링
- K8S
- 자료구조공부
- 스프링부트
- DDD
- nestjs스터디
- JPA공부
- Flutter
- Axon framework
- 프로그래머스
- Kafka
- 자바공부
- 코테준비
- 스프링 공부
- JPA예제
- 카프카
- JPA 공부
- querydsl
- 플러터 개발
- 플러터 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JPA
- 스프링공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카프카 세그먼트 삭제 (1)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xIqu/btsofRMR7Qe/7R42ACqi0AYNw2o2RKQTX0/img.png)
cleanup.policy로 해당 삭제 주기를 정할수 있다. delete를 하게되면, 기본값 7일이 지나면 삭제된다 (액티브 세그먼트 제외) retention.bytes로 하게되면, 해당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 만료된 세그먼트의 크기를 보고 결정한다. 이 삭제에 대한 작업은 브로커가 한다. log.retention.check.interval.ms에 설정한 값에 따라, 세그먼트가 삭제 영역에 들어왔는지 확인 한다. 기본값은 5분이다. 스케줄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retention.ms 는 기간으로 삭제를 체크하기 때문에, 기간 동안 쌓이는 용량에 따라 디스크의 용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있다. 따라서, 앵간하면 크기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retention.ms 에서 보유할 최대기..
Develop/[Kafka]
2023. 7. 20. 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