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프로그래머스
- 기술공부
- Axon framework
- querydsl
- 기술면접공부
- JPA예제
- 알고리즘공부
- 스프링공부
- JPA공부
- 스프링부트
- 스프링부트공부
- 자바공부
- JPA 공부
- nestjs스터디
- 카프카
- Flutter
- 플러터 개발
- DDD
- 코테준비
- 스프링 공부
- nestjs
- JPA
- 플러터 공부
- nestjs공부
- 자료구조공부
- JPA스터디
- 코테공부
- 스프링
- Kafka
- K8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카프카 구조 (2)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wFr55/btsnOs10by3/Q48hKpNEvUKALCwrupANJ0/img.png)
카프카 생태계는 아래와 같다. 토픽을 가져가는 건 컨슈머가 가져간다. 토칙에 저장된 데이터를 Stateful, Stateless 하게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시 토픽에 넣고싶다면? 카프카 스트림즈를 쓴다. 커넥트는 싱크커넥트와 소스 커넥트가 있다. 소스 커넥트는 프로듀서 역할을 하고 싱크 커넥트 같은 것들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커넥트는 템플릿화를 하여 반복적으로 여러번 파이프라인 생성이 가능하다. MM2 이러메이커라는 것이 있고, 클러스터 단위로 토픽에 있는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제하기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Develop/[Kafka]
2023. 7. 17. 22:5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3YrP/btsn1Ke5fd5/AXYj2QlpxNvfsE4bKjpgpk/img.png)
링크드인에서 만들었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스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최종 적재되는 타깃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야할때 사용한다.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타깃애플리케이션의 개수가 점점 많아지면서 문제가 생겼다. 내부데이터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한곳에 모아서 처리를 하는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카프카는 토픽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프로듀서와 컨슈머로 나눠지면 해당 파티션으로 전송이 된다. 프로듀서는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 보내게 되면, 파티션 중 하나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파티션의 내부구조는 큐 형태로 동일하게 구현이 되어있다. 파티션마다 다르게 큐에 담겨서 데이터가 컨슈머에게 전달이 되게 된다. (순차적으로) 큐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프로듀서고 큐에서 데이터를 가져가는 것이 컨슈머 이다. 또한 컨슈머는 큐에 ..
Develop/[Kafka]
2023. 7. 17.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