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estjs
- JPA공부
- 기술면접공부
- 자바공부
- 알고리즘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JPA예제
- 플러터 개발
- 스프링공부
- JPA스터디
- nestjs공부
- Kafka
- K8S
- 프로그래머스
- 코테공부
- 플러터 공부
- querydsl
- 스프링 공부
- JPA
- 카프카
- Axon framework
- 스프링
- 기술공부
- 코테준비
- 스프링부트
- Flutter
- nestjs스터디
- DDD
- JPA 공부
- 자료구조공부
- Today
- Total
목록어노테이션 공부 (2)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v50f/btruXUpyljy/yxr1LmC4kPvYZWnNBFLq5k/img.png)
스프링 관련 주요 어노테이션을 정리하면서 스프링 전반적인 개념을 좀더 쌓아보자 1. @Configuration 스프링에서 설정 클래스를 선언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우선 스프링 빈을 만드는 방법은 @Bean, @Configurtaion, @Component 3가지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된다. Configuration을 클래스 파일에 달게 되면, 이 클래스는 빈등록하기 위한 파일이라는 것을 가시적으로 알려준다. @Configuration을 붙인 class를 java config파일이라고 생각한다면 @Configuration에 대한 클래스 파일 하위에 객체에 대한 return을 해주는 메소드에 빈을 해주면, ApplicationContext 중,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51qxP/btrmzjKodr5/qb6oqKu9kn9zdE2hKKbk21/img.png)
개념만 둥둥 떠있고, 정확하게 공부를 하지 않은, 어노테이션들에 대해서 공부를 하려고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잠깐 쓰고 또 까먹고하는걸 확실히 익혀보자 @RequestMapping이나, @PostMapping같은거 말고, 잘 안쓰는것들에 대해서 한번 공부를 해보자 1. @RequestBody jsp나, view단에서, ajax로 통신한다고 가정해보자 객체 통신이라 무조건, Post방식을 사용해야한다. (Get으로도 할수있지만, 일일히 하나씩 set하는 개발자는 없을것이다.) Json.stringify는, json형태의 변수를 string 형으로 변환 시켜주는것이다. Json데이터를 string으로 Controller에다가 보내게되면, Controller에서는 이 String이 Json형식이라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