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DDD
- 자바공부
- 알고리즘공부
- JPA예제
- nestjs
- 스프링
- 스프링 공부
- JPA스터디
- 코테준비
- 프로그래머스
- 카프카
- JPA
- Flutter
- 플러터 공부
- 기술공부
- JPA 공부
- nestjs공부
- Axon framework
- 기술면접공부
- 스프링공부
- 자료구조공부
- 코테공부
- 플러터 개발
- querydsl
- K8S
- nestjs스터디
- 스프링부트공부
- JPA공부
- Kafka
- 스프링부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 기본 (1)
DevBoi
[Spring] DI 구현 예제 및 Spring 역할 이해
저번 포스팅에서 DI에 대한 작업은 Spring. 에서 DI 컨테이너가 지원해준다고 했다. 좀 더 상세히, 그리고 내가 구현해서 한번 어떻게 동작하는 지 살펴보자 우선 Program이란 클래스가 있다. 해당 클래스에서는 Exam,ExamConsole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는 구현체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이런식으로 사용한다. ExamConsole은 두가지의 구현체를 가진다. 인라인과 그리드 물론 둘다 출력은 잘 된다. ExamConsole exam이라는 녀석에 대한 사용을 중간에 exam = Grid 로 바꿔도 잘 동작한다. 그러면 결국은 이 구현체를 바꿀때마다 소스코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소스던 어떤 로직이던 특정 부분에서 구현체에 대한 변경을..
Develop/[Spring]
2022. 2. 21.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