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PA
- K8S
- JPA스터디
- 프로그래머스
- 스프링
- JPA공부
- 코테공부
- 스프링공부
- JPA 공부
- 기술공부
- 스프링부트공부
- DDD
- 코테준비
- 자료구조공부
- 플러터 개발
- 카프카
- Kafka
- 알고리즘공부
- 기술면접공부
- 스프링 공부
- 자바공부
- nestjs스터디
- querydsl
- nestjs공부
- JPA예제
- Axon framework
- Flutter
- 스프링부트
- nestjs
- 플러터 공부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 강좌 (2)
DevB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Ijpq/btruVYZ3Ejf/aFhPmkA9hpr5uR1O0xSylk/img.png)
@Configuration 스프링에서 설정 클래스를 선언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우선 스프링 빈을 만드는 방법은 @Bean, @Configurtaion, @Component 3가지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된다. Configuration을 클래스 파일에 달게 되면, 이 클래스는 빈등록하기 위한 파일이라는 것을 가시적으로 알려준다. @Configuration을 붙인 class를 java config파일이라고 생각한다면 @Configuration에 대한 클래스 파일 하위에 객체에 대한 return을 해주는 메소드에 빈을 해주면, ApplicationContext 중,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JavaConfig클래스를 읽어 IOC와 DI를 적용하게 된다. 쉽게말하면, Con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efte/btrtYU4fner/ufIjLKMEdMeIpWHXkH7DW1/img.png)
저번 포스팅에서 DI에 대한 작업은 Spring. 에서 DI 컨테이너가 지원해준다고 했다. 좀 더 상세히, 그리고 내가 구현해서 한번 어떻게 동작하는 지 살펴보자 우선 Program이란 클래스가 있다. 해당 클래스에서는 Exam,ExamConsole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는 구현체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이런식으로 사용한다. ExamConsole은 두가지의 구현체를 가진다. 인라인과 그리드 물론 둘다 출력은 잘 된다. ExamConsole exam이라는 녀석에 대한 사용을 중간에 exam = Grid 로 바꿔도 잘 동작한다. 그러면 결국은 이 구현체를 바꿀때마다 소스코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소스던 어떤 로직이던 특정 부분에서 구현체에 대한 변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