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프링부트공부
- 코테준비
- 기술면접공부
- nestjs
- 코테공부
- K8S
- 플러터 공부
- 자료구조공부
- 카프카
- Axon framework
- 스프링
- nestjs공부
- 알고리즘공부
- 자바공부
- 플러터 개발
- JPA 공부
- Flutter
- 스프링 공부
- Kafka
- nestjs스터디
- 스프링공부
- JPA스터디
- querydsl
- JPA예제
- 스프링부트
- 기술공부
- JPA
- JPA공부
- 프로그래머스
- DDD
- Today
- Total
목록면접공부 (2)
DevBoi
1. 자바 캡슐화 - 자바 캡슐화는 변수와 함수를 하나의 클래스로 묶고, 외부에서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은닉하는것이 핵심이다. 객체의 직접적인 접근을 막고, 객체가 제공하는 필드,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다. (getter,setter) 장점으로는 객체내 정보손상, 오용을 방지하고,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다른 객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떄문에 독립성이 좋다. 또한 처리된 결과 사용으로 이식성이 좋고, 객체를 모듈화 할수 있어, 하나의 모듈 처럼 사용가능하다. ex. private 변수, public getter,setter 2. map과 set의 차이 - set은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또한 key와 value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map 또한 순서를 보장하지 않지만, key..
JAVA에서 싱글톤 패턴을 쓰는 이유 싱글톤 : 최초 한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 그 메모리에,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1) 객체를 여러번 생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이 적다. 2) 객체가 무조건 한번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 3) 한번 만들어서 여러곳에서 사용하면 수정하기 힘들다. 4) 테스트하기 어렵다 5) 많이 사용하게 된다면, 다른 객체들과 결합도가 높아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의미를 벗어나게된다. 또한 수정의 경우, 사이드 이팩트 발생 환경이 높아지고,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동기화 문제가 발생한다. 6.Thread 가 3개 생성 되었을 때 t1, t2, t3의 순서가 보장 되는 코드를 짜 보세요. 이건 Tread Safe한 상황에 대한 코드를 짜는것에 대한 테스트이다. 우선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