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라이프사이클 (2)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 라이프 사이클 실습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한번 정리하면서 해보자..(옛날 생각도 하면서ㅎㅎ) 1. docker image pull docker pull nginx 2. docker container create docker create -p 80:80 --name nx nginx 3. docker ps -a 생성된 docker container 확인(나는 마리아디비했음) 4. docker start 생성된 컨테이너를 시작 5. docker stop 컨테이너를 멈춤 6. docker rm 컨테이너 삭제 7. docker rmi 도커 이미지 삭제 8. docker restart docker 컨테이너 재시작 [Docker] Docker 라이프 사이클 (이론) 1. registry에서 이미지를 풀/푸쉬를 한다. 2. 컨테이너 가져온 이미지 바탕으로 create하고 3. create된 컨테이너를 run하면서 메모리에 컨테이너가 동작된다. docker 에서 run은 create + run의 개념이다. 따라서, docker 에서 run은 create가 필요한 초기1회만 사용하는것이 좋다. (계속 run을 실행하면, create, start해버리기 때문에 불필요한 컨테이너가 겁나 많이 는다.) 이 컨테이너를 중지하고싶으면 stop이라고 하면, 컨테이너가 꺼지고 메모리에서 내려가게되고 rm으로 컨테이너를 삭제 할수 있다. 이미지는 rmi 로 삭제하고.. 컨테이너를 쓰다가 commit하면, 컨테이너 기반으로 이미지를 만들수 있다고 한다. 자.. 라이프 사이클을 명령어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