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프카 클러스터에는 브로커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수있다.
이런한 클러스터들은 하나의 주키퍼 앙상블로 운영이 될 수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하나의 주키퍼 앙상블은
여러대의 클러스터들과 매핑이되고
각 클러스터는 각기 다른 브로커수를 가진다.
카프카 클러스터를 운영하려면, 반드시 주키퍼가 필요하다.
3.0부터는 주키퍼가 없어도 클러스터 자체로 사용가능하다.
하지만, 예전 버전에서는 주키퍼가 필수였어서 앙상블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반응형
'Develop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브로커의 역할 (0) | 2023.07.20 |
---|---|
[Kafka] Broker의 역할 (0) | 2023.07.18 |
[Kafka] 브로커와 클러스터 (0) | 2023.07.18 |
[Kafka] 카프카 생태계 (0) | 2023.07.17 |
[Kafka] 데이터 파이프라인으로 적합한 이유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