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주 쓰는 git 그리고, 실질적으로 쓰는 깃 커맨드를 알아보자
사실 소스트리나, 별도 인텔리제이등에서 쓰기는 하지만, 깃 커맨드를 정리해보자
다음에는 인텔리제이 깃 사용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가끔 이런 포스팅은 재밌다.
1. git branch 확인
git branch
2. git branch 변경
git checkout develop
3. 변경 사항 확인
git diff
4. 깃 추가
git add .
5.깃 상태 확인
git status
6. 깃 추가된 항목들 원복
원복 한뒤 git status 를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git reset
7. 깃 커밋
git commit -m "commit message"
8.깃 푸쉬
git push origin master
9. 깃 리베이스
이건 뭐 다들 알겠지만, 쉽게 얘기하면
내가 마스터 기준으로 브랜치를 생성해서 작업중인데
다른 사람이 마스터에 푸쉬를 했다. 이 변경사항을 가져오는 것이다.
git rebase origin master
10. 깃 브랜치 생성
git branch <branch-name>
커맨드로 대충 이것저것 알아봤는데, 사실 머지 부터 리베이스, 풀 푸쉬까지
소스트리나... 인텔리제이가 훨씬 편하다.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ignore 파일내용추가 (0) | 2023.06.17 |
---|---|
[Git] rebase에 대해서 (0) | 2023.05.01 |
[Git] 소스트리 특정 파일 추적 중지 인덱스 달기 (0) | 2022.01.24 |
[Git] 소스트리 특정 파일 추적 중지 인덱스 달기 (0) | 2022.01.24 |
[GIT] 소스 트리 설정 및 설치 (간단 commit,push, pull 예제)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