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쉽게말해서, 2진수로 변환하고, 해당 1간의 간격의 최대값을 구하는게 키포인트이다.
이진수로 변환하는건 라이브러리가있기 때문에 변환해서, 값 index를 배열에 넣고,
빼주고 -1 을 더 뺴준다. index가 3,2 일경우 11 이기때문에 gap은 0이기때문에
반응형
'Algorithm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공부 총 목차, 공부해야할 리스트 정리 (0) | 2021.07.15 |
---|---|
코테할때 알아두면 좋은 함수들 (0) | 2021.07.15 |
[프로그래머스] 위장 문제 풀이 (0) | 2021.07.14 |
[프로그래머스]그리드 - 체육복 (0) | 2021.07.11 |
[프로그래머스]H-Index 문제 (0) | 2021.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