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버네티스 : 컨테이너 기반 오픈소스 가상화 프로젝트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의 차이는 대략적으로 이렇다.
이론을 아는건 지루한 일이지만, 뭔가를 시작하기전에 이론에 대해서 알고 시작하면 조금 더 좋다.
뭐 잘 알다 싶이,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하면, 파드 개수를 조절해서
애플리케이션의 개수를 늘리거나 스케일에 좀 더 유연하고
이를 인그레스로 분산하고 뭐 등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론은 귀찮으니, 이정도만 알고 바로 실습 ㄱ
반응형
'Infra > [K8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Docker 라이프 사이클 (이론) (0) | 2023.05.19 |
---|---|
[Docker] Docker registry (1) | 2023.05.19 |
[k8s] kubectl 명령어 모음 (0) | 2023.05.14 |
[Docker] Docker 의 기초와 Swarm에 대해서 (1) | 2023.04.20 |
Docker compose ip 고정하는법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