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프링에서 Log로 보면 제일 많이 보이는 DispatcherServlet 이 존재한다.
해당 서블릿은 뭐하는 녀석일까????
1. FrontController
해당 스프링에서 제일 앞단에서 받는 컨트롤러이다.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컨트롤러 보다 먼저받아서, Controller로 뿌려준다.
이 계층으로 응답을 받고 처리를 진행하는데,
쉽게 말해서 dispatcher servlet 이 받고, filter intercepter controller라고 생각하면 된다.
필터는 보안이나, 인코딩에 대한 것이라서, 내부 Servlet 전에 막아준다.
그다음에는 intercepter 인데, Controller 수행전, 수행후 특정 패턴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DispatcherServlet 은 Controller 의 Controller 같은 개념이고,
뭐 이런식으로 구성이 된다.
HttpServlet 을 상속 받아서, doGet, do Post 를 오버라이드하고,
해당 request로 받은 uri 를 컨트롤러나 뷰 리졸버에게 넘겨준다.
근데 , MVC에서는 이게 다 ㅡㅡㅡ 구현이되었다아
그리고 스프링 부트에서는 이걸 @EnableAutoConfiguratio 이녀석이 알아서 다 설정해준다(JPA,JDBC 등등.....)
핵편함
담에는 스프링 관련 기본 세팅 관련 구조를 깊숙히 포스팅 해봐야징
반응형
'Develop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mustache 와, 기초 예제 (0) | 2021.11.16 |
---|---|
스프링 부트 vs 스프링 (0) | 2021.10.18 |
@RequestBody,ResponseBody,Requestparam 등등 (0) | 2021.06.13 |
@RequstMapping 기본구조 및 사용 방법 예제 (0) | 2021.06.13 |
@AutoWired 사용 이유, 의존성 개념 (0)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