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두가지 장단점을 비교해서, 언제 어떤걸 쓸지 결정해보자
1. XML
xml은 html 과 매우 비슷한 문자 기반의 마크업 언어이다.
장점 : 스키마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수 있다.
단점 : XML은 배열을 사용할 수 없고,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이 Json 대비 느리다.
2.Json
JSON은 경량 DATA 교환 방식이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메타언어이다.
javaScript 에서 객체를 만들때 사용하는 표현식을 의미한다.
장점 : JSON은 문자열을 전송받은 후에 해당 문자열을 바로 파싱하므로, XML 보다 빠르다.
단점 : JSON은 개발자가 문자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해야한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레이어드 아키텍처 (0) | 2023.06.18 |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구현하기 (0) | 2022.02.20 |
[디자인 패턴] 스프링 디자인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1.14 |
애자일 vs 워터풀 프로젝트 모델 (0) | 2021.10.14 |
[기술 지식] MSA 구조가 뭐임?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