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운팅 정렬
1. 숫자가 등장한 횟수 를 다른 한가지의 배열에 넣는다
2. 다른 한가지의 배열의 누적합으로 값을 update해준다.
3. 기존 숫자들이 있던 배열 마지막부터, 새로 생성한 배열을 보면서, 정렬 index를 찾는다
ex. 4가 5번 등장하면, arr[5] =4 이런식으로 (만약 중복되는 값이 있어, index에 값이 이미있다면, -1 을 해준다.)
이해가 잘되는 애니메이션 링크
https://www.cs.miami.edu/home/burt/learning/Csc517.091/workbook/countingsort.html
Counting Sort
This is an animation of the counting sort algorithm found in CLR's Algorithms book. Array C (counting array): PSEUDOCODE FOR COUNTING SORT (taken from CLR) Initialize counting array to all zeros. Count the number of times each value occurs in the input. Mo
www.cs.miami.edu
2.퀵 정렬
일반적으로 더 빠르다.
퀵정렬은 우선 배열의 0번째를 pivot으로 둔다.
그리고, 2개의 포인터를 둔다 (흔히 high, low로 사용한다.)
해당 high는 오른쪽 끝 low는 왼쪽 끝에서 부터 서로 엇갈릴때까지 Pivot보다 작은수, 큰 수를 찾 고 (high에서는 작은수, low에서는 큰수)찾게되면 이 두개의 값을 바꿔준다.
최종적으로 엇갈리면 high 즉, 마지막으로 세팅된 작은값과 pivot을 바꿔준다. (내림 차순의 경우)
이렇게 되면 pivot 기준으로 배열이 두개로 쪼개지게 되는데 이 쪼개 진 배열에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반복하면서 계속 정렬이 된다면, 다시 이걸 합쳐주면서 마무리를 한다.
'Algorithm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753 (0) | 2022.04.19 |
---|---|
[최단거리] BOJ1753 (0) | 2022.04.09 |
선택 정렬 (0) | 2021.09.28 |
버블 정렬 (0) | 2021.09.28 |
알고리즘 공부 [힙] (0) | 2021.09.27 |